티스토리 뷰

 

배달의민족은 홈 화면에서 다양한 UX 변화를 진행해왔다. 오늘부터 배달의민족 PO로 그동안 주요 데이터의 변화를 확인해보고, 앞으로 개선 방향을 도출해 본다고 가정해보고, 다음 질문들에 대해서 고민해보자.

 

 

Q1. 배달의 민족 홈화면에서 제일 중요한 지표 1가지를 꼽는다면 어떤 지표를 선택할 수 있을까요? 그렇게 선택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단 어떤 지표들을 고려할 수 있을지 힙서비 영상보면서 공부해보자.

CTR, RV, UV,

검색 대비 구매전환율 = 구매자 수(UV) / 검색자 수(UV)

평균 주문금액 = 총 구매금액(값)/구매횟수(PV)

구매자당 평균 구매금액 = 총 구매금액(값)/구매자 수(UV)

 

또는 특정 속성의 유저, 유저의 특정 행동만을 선택하여 살펴볼 수도 있음

ex) iOS 유저들의 구매전환율,

 

‘가구’ 상품의 구매전환율 = ‘가구’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수 / 전체 방문자 수

1번 A/B 테스트의 구매전환율 = 분모의 사용자 중 구매자 수 / A/B 테스트에 노출된 사용자 수

 

배민은 서비스 여러개 한다. 각각의 서비스 마다 담당자(PM, PO)가 존재할텐데

메인페이지에서 상세 서비스로 넘어오는 진입율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배민 C-Level 입장에서는 새로 런칭한 B마트, 쇼핑라이브, 선물하기, 전국별미 등 서비스의 진입율을 모니터링하고 있을 것.

 

현재 기준으로 배달, 배민1 서비스 진입율이 절대적으로 높겠지만 장기적으로 이들의 파이를 줄이고 다른 서비스의 파이를 키우는 방향이 이상적일 것으로 보임.

 

배달음식 시키러 왔는데 다른 서비스를 이용해보는 고객이 얼마나 소중할까

이들을 Tracking 하고 유저 행동에 기반한 Benefit을 주는 정책이 유효할듯.


Q2. 현재 버전의 홈UX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를 확인하면 될까요? 3가지 지표를 확인해볼 수 있다면, 어떤 지표를 확인하실 건가요? 그렇게 선택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1. 상세 서비스 진입율 : 상세 페이지 진입한 인원 / 전체 홈 화면에 Onbording된 인원 - 홈에서 상세 서비스로 인입된 비율 확인
  2. 주문 선택율 : 주문서 진입한 인원 / 상세 페이지 진입한 인원 - 원하는 Product, 제품을 찾았는지 확인
  3. 주문 완료율 : 주문 완료 유저 수 / 주문서 진입한 인원 - 실제 구매로 전환됐는지 확인

각각의 퍼널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퍼널별로 고객이 얼마나 인입됐는지 이탈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들임.


Q3. 연도별 변화에 대해서 확인할 때, 어떻게 하면 UX변화의 영향도만 분리해서 측정할 수 있을까요?

A/B테스트를 통해 파악하는 수밖에 없음. 직관으로 하기엔 어려운 부분.

통제할 수 있는 변수들을 정하고 UX변화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지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

다른 기타 외부 변수들을 통제하고(실험, 통제 집단간 동일하게 설정하든, 표본간 등분산을 가정하든) 실험해야함.


아래는 힙데비 유튜브 보면서 Q&A 정리한 내용

Q. 배민에서 리텐션 관련 데이터를 보고싶다면 어떻게 볼 수 있을까?

A. 구매리텐션(D+7일) = 7일 내 재구매자 수 / 구매자 수

방문리텐션(D+1일) = 1일 내 재방문자 수 / 방문자 수

리텐션도 일정 기간 이내에 특정 행동을 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지표임.

음식을 주문할때 발생되는 구매의 주기를 살펴볼 수 있고, 뭐 먹을지 고민해서 배달앱을 켜게 되는 방문 리텐션을 고려할 수 있겠다.

 

Q. UV와 같은 지표를 볼때, 기간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

A. 서비스의 사용빈도에 따라 고려할 부분임. 사용빈도가 정말 높은 서비스라면 짧은 주기로 모니터링하는게 좋지 않을까?

 

Q. PM 관점에서 **‘홈 화면’**의 가장 큰 목적은 무엇일까?

어떤 계기로 주로 변경하는지 궁금함.

A. 더 좋은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PM의 관점에서는 제품에 목표한 지점까지 고객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함. 홈 화면은 고객이 원하는 것을 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그래서 **‘상세 페이지 진입율’**이 중요한 지표라고 판단한다고~

홈 화면은 UX 개선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방향성이 변함에 따라 바뀌기 마련.

 

Q. OMTM을 정할 때 참고할만한 기준은?

A. Customer Job, 고객의 Pain Point가 무엇이고, 그것을 해결하고 있다는 것을 잘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이것만 움직이면 정말 될까? 라는 질문에서 Start!

 

Q. A/B 테스트 없이 내가 보고자 하는 영향도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A. (?? 이해 못함) 기승전 AB테스트 최고?

 

Q. 거시적인 변수, 예를들어 방문자 수 같은 경우 여러가지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있을텐데 어떻게 분리해서 접근하는가?

A. 서비스 방문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케팅 예산
  • 방송 노출
  • 경쟁사의 추락
  • 만족도 높은 서비스로 인한 재방문 ... etc)

Q. 외부적인 요인을 내부의 데이터로 볼 수 있게 바꾸는걸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A. 매우 어려운 문제임. 파리바게트 상권분석 참조하면 좋음. 결국 무엇을 유의미한 데이터(지표)로 정의하고 추출하고 발라낼 것인지가 중요함.

 

댓글